석사논문연구 |
Research for the Master's Degree |
석사학위논문의 작성과 방법을 집중적으로 훈련하면서 논문과제의 탐색과 분석방법을 논의한다. |
박사논문연구 |
Research for the Ph. D. Degree |
박사학위논문의 작성과 방법을 집중적으로 훈련하면서 연구과제의 탐색과 분석방법을 논의한다. |
건축설계프로젝트 |
Project Studies in Architectural Design |
특정 설계프로젝트에 따른 제반사항과 요구조건을 분석·종합하여 건축적 구현을 이루도록 제안한다. |
건축현안세미나 |
Seminar on Current Issues in Architecture |
건축에 있어서의 최근 논점에 관하여 토의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다. |
한국건축론 |
Theory of Korean Architecture |
한국전통건축의 시대별 사회문화구조와 건축 사상적 맥락을 고찰하며, 한국전통건축이 갖는 공간적,조형적 특색을 탐구한다. |
리모델링공법과구조설계 |
Structural Design and Method of Remodeling |
건축물의 노후화 및 용도변경에 따른 리모델링을 위하여 노후와 정도의 조사, 진단, 평가에 의한 기본 이론을 소개하고 조후 및 성능저하 건축물의 성능개선을 위한 리모델링 공법 및 구조설계 방법을 연구한다. |
프로젝트공정관리 |
Project Network Scheduling |
건설공사 공정계획에서 주로 CPM이나 Bar-Chart와 같은 공정표를 중심으로 전체현장의 공구공정표와 단기 공정계획간의 관련성과 그 실행 방법을 적용해보는 방법을 논의한다. |
건축기술론 |
Building Construction Technology |
건축공사의 신기술, 신공법 및 자재의 개발과 초고층 건축시공의 현장사례를 소개하고, 건축공사의 과학화와 자동화를 위한 가치공학, 건설전문가시스템, 건설경영정보시스템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. |
건축환경론 |
Environmetal science in Buildings |
열환경, 빛환경, 음환경등 환경요소들의 건축원론을 이해하여 지속가능하고 환경친화적건축계획 수법을 탐구 |
현대건축사조 |
Trend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|
현대 건축의 새로운 이론과 다양한 사조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현대 건축의 흐름을 명확히 인식하고 미래성을 모색한다. |
고층건축구조설계론 |
Structural Planning of High-rise Buildings |
합리적인 고층건물의 계획 및 설계를 위하여 초고층건축의 구조시스템 유형과 하중 및 저항특성을 이해시킨다. |
건축물내진설계론 |
Earthquake Design of Building Structures |
건축물의 내진설계방법, 내진구조계획, 지진피해분석, 동적해석 등에 대해서 연구한다. |
건축사특론 |
Hisyory of Architecture |
건축사에 있어서 특정시대 및 특정지역의 건축을 심층적으로 조사 분석하고 그 성격을 규명한다. |
건축의장론 |
Theory of Architectural Design |
건축 조형이 구성되는 원리를 주제별로 강의하고, 건축적 의미를 사례를 통하여 평가한다. 그리고 강의를 통한 이론전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해하여 건축을 이해함을 주 목적으로 한다. |
구조안정론 |
Structural Stability of Structrues |
강구조물의 중요문제인 좌굴문제에(특히 탄성좌굴) 대한 기본이론과 골조안정해석의 요령 및 구조설계의 응용에 대해 연구한다. |
탄성학 |
Theory of Elasticity |
탄성이론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과 직각 및 극좌표계에서의 응력 및 변형도 해석, 응력함수 및 변형함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에너지법, 수치해석법의 응용 통하여 부재해석의 방법을 다룬다. |
철근콘크리트 건축구조설계 |
Structural Design of R.C Buildings |
철근콘크리트 건물의 구조계획과 구조계산의 실례를 중심으로 연구한다. |
건축공사관리론 |
Theory and Method of Construction Management |
건축공사에서 공사관리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, 공정관리, 자재 및 노무관리, 품질 및 안전관리 등에 관한 이론과 기법을 강의하고 사례연구를 통하여 실무적용방법을 고찰한다. |
건축문화재연구 |
Study in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|
건축역사와 인문사회적 배경, 공간의 구조와 구성수법, 목구조의 역학적 해석 따른 이론 강의와 현장실습을 통한 복원설계·환경보존 등 현장실습을 통한 전문강의를 실시코자 한다. |
공사계약론 |
Theory of Construction Contract |
건설계약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공사계약의 종류, 절차, 국내외 계약서의 비교, 관련분야의 연구방법론을 학습한다. |
평·곡면판구조 |
Theory of Plates and Shells |
건축구조에서 탄성학을 기초로 하여 평판, 곡면판 등의 일반적인 구조 설계식을 유도하고, 응용의 방법으로 유한요소법에 대한 수치해석을 연구한다. |
불교건축론 |
Theory of Buddhism Architecture |
동양의 중요한 종교의 하나인 불교 사찰을 대상으로 하여 그 사상적 배경, 종교적 교리 등을 통하여 사찰의 형성과 배치, 공간구성 등을 집중 탐구하며 동양 여러 나라의 불교건축을 비교 고찰한다. |
양택풍수이론 |
Theory of Feng Shui
| 전통적 환경사상이자 선조들의 삶의 지혜가 응축된 자연 생태학이며 최적의 주거입지와 주거환경을 제시하는 웰빙 코드라 할 수 있는 양택 풍수지리의 사상과 구성, 원리와 수법 등을 습득하도록 한다. |
전산구조공학 |
Computational Methods in Structural Engineering |
실무에서 사용하는 각종 전산프로그램을 사용한 제반 구조해석 및 부재 설계 방법에 관한 연구 |
건설기술과정책 |
Construction Technology & Policy |
건설과 관련된 법과 제도를 이해하고 건설산업의 초고층, 대규모, 복잡화에 따라 건설기술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과 정책의 중요성을 인식시킨다. |
도시정책론 |
Urban Policy |
시대적 및 사회적, 환경적 변화에 따른 도시화와 정보화, 글로벌 시대에 제반 도시문제의 분석과 연구를 통해 도시정책의 나아갈 방향과 전략적 방법 등을 습득하도록 한다. |
구조동역학 |
Dynamics of Structures |
동하중, 지진하중이 작용하는 구조물의 거동에 관한 기본이론 및 응용을 다루며,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설계 방법론을 소개한다. |
BIM 설계 |
Desig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|
건축기초계획과 설계, 시공까지 모든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, 오류나 실수를 수정, 보완할 수 있는 설계 기법을 응용한 설계이다. |
유한요소법 |
Finite Element Method |
구조공학 문제의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유한요소법에 대한 이론을 소개하며 유한요소해석을 위한 기존의 전산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을 습득하도록 한다. |
건설경제성공학 |
Economic Decision & Analysis in Construction |
건축 및 토목 엔지니어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본원칙을 학생이 필요한 모든 도구를 이용하여 경제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론을 제공한다. |
강구조설계론 |
Steel Structures |
강구조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기본을 정리하고, 트러스의 설계, 간단한 공장건물 등 실제 철골건물의 골조(뼈대)설계를 실무용 S/W(예, 실용의 2D 프로그램)을 사용한 역학적인 문제와 철골구조의 설계요령에 대하 주로 연구한다. |
강구조론 |
Structural Theory of Steel Buildings |
강구조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이론과 실제를 강구조의 구조계획 및 해석, 부재설계의 요령 및 강구조 설계기준 등의 주요 내용에 대해 연구한다. |
건축계획론 |
Theory of Architectural Planning |
건축계획의 학술적 정립과 과정론적 연구를 위한 이론적 탐색을 꾀하며, 건축용도 및 주제별 특성을 파악하고 건축설계를 위한 제반 지침을 마련하여 실제적 적용성을 제고시킨다. |
건축구조실험론 |
Experiments of Building Structures |
철근콘크리트구조 및 강구조의 다양한 구조부재의 실험, 구조물의 선형 및 배선 형태, 구조물의 안전성, 구조물의 피로 및 파괴 구조물의 동역학적 거동에 관한 실험을 다룬다. |
건축구조역학론 |
Architectural Structure Mechanics |
건축구조물의 재료 및 구조역학적 특성을 소개하고 건축 구조물의 구성부재별 응력전달 메카니즘을 규명한다. |
건축미학 |
Architectural Aesthetics |
건축 디자인의 모티브를 설정하는 각각의 예술적, 철학적 배경 및 시대 정신의 발현에 관해 미학적으로 접근함으로써 건축 미학의 본질을 밀도있게 연구한다. |
건축설비계획론 |
Environmental System for Building |
건축 설비의 체계적 설계방법과 하이테크의 활용 방안을 모색한다. |
건축환경계획론 |
Theory of Architectural Environment Planning |
인간과 환경 시스템 중에서 물리적 환경인자와 사회적 환경인자를 연구하고 인간의 감각적, 사회심리적 요구에 적합한 건축환경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조건을 탐구 |
철근콘크리트론 |
Theory of the Structure for R.C Building |
철근콘크리트 구조의 허용응력 및 극한강도 설계를 중심으로 탄소성 성상과 종국변형 특성을 연구한다. |
친환경건축계획론 |
Sustainable Architecture |
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에 합당한 건축을 위한 계획개념과정, 계획항목 및 계획기법과 성능의 적용 및 평가에 관하여 연구한다. |
콘크리트공학론 |
Concrete Engineering |
구조물의 해석을 위한 기초이론 및 응용에 대해 연구한다. |
한국건축사론 |
Korean Architectural History |
한국건축사의 발생과 형성, 그리고 시대적 및 사회적 흐름을 통하여 시대별 건축 특질을 규명한다. |
현대건축디자인 |
Design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|
현대건축 디자인의 새로운 창조를 위해 다양한 영역과의 관계와 적용 가능성에 관해 이론적 접근 및 실험적 연구를 한다. |
한국전통건축보수론 |
Theory of the Repair of Korean Architecture |
한국의 역사와 문화, 기술이 농축된 전통건축의 보수와 복원, 보전 등에 대한 이론과 방법을 습득하도록 한다. |
한국전통건축의장론 |
Korean Architecture |
한국전통건축의 특성을 이루는 형태와 공간의 구성원리를 이론적 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여 탐구하며 현대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하도록 한다. |
복합구조론 |
Hybrid Structure |
복합소재를 활용한 구조물의 보수·보강법을 이해하고 보수·보강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 및 복합소재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고찰한다. |
건설생산성론 |
Construction Productivity |
건설생산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건설분야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, 건설 산업의 생산성 측정 방안, 건설생산성의 향상방안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. |
건축정보기술론 |
Architectural Information Technology |
건축전문가로서 요구되는 건축분야 전반에 걸친 건축정보의 요소 기술(지식경영, 유비쿼터스, BIM)의 통합화에 관한 이론을 습득한다. |
건축재료론 |
Building Material |
건설관련 소재의 물질적, 화학적 특성의 이해를 기반으로 건설재료의 선택과 공법 및 구법의 응용은 물론 시공 후 유지관리에 이르는 전반적인 내용을 지도한다. |
파괴역학론 |
Fracture Mechanics |
구조물의 피로설계, 파괴역학설계 및 안전성해석과 관련된 기초이론을 습득하고 실험적인 파괴역학 매개변수 측정법 및 실용적인 평가방법에 대해 학습한다. |
구조해석론 |
Architectural Structural Analysis |
응력법(유연도법)과 변위법(강성도법)에 의한 구조해석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에 적합한 매트릭스법을 제시한다. |
건축시공론 |
Building Construction |
건축구조물의 시공시에 필요한 전체 시공계획, 가설계획, 구체공사계획, 마무리공사계획, 설비공사계획, 해체공사 계획, 공정관리, 품질관리, 안전관리, 건설신공법 등에 대해서 연구한다. |
건설안전관리론 |
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|
건설재해 유형과 원인을 살펴 건설재해방지방법을 정리하며,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안전관리의 제기법을 체계화하고, 안전시설의 정비, 안전교육·지도의 방법론들을 고찰한다. |
건설원가관리론 |
Construction Cost Management |
사업기획단계에서의 사업비산정, 입찰 및 공사계획단계에서의 견적과 관련된 기법 및 사업 및 공사수행단계에서의 원가관리기법들을 다룬다. |
건설사업관리론 |
Construction Management |
건설사업을 진행하는데 관련되는 각 단계를 살펴보고 단계별로 이루어져야 할 고려사항과 건설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제반기술, 방법, 절차 그리고 관리체계 방법론을 고찰한다. |
건설자동화론 |
Construction Automation |
데이터베이스와 지식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전문가 시스템의 적용, CAD-CAE-CAC-CIC 자동화 · 로보트화 등을 조사, 분석하여 연구의 방향으로 삼는다. |
건축디자인평가 |
Architectural Evaluation |
건축디자인 평가과정에 대한 이론, 실습, 과제를 수행한다. |
주거환경계획 |
DwellingEnvironmentPlanning |
주거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과 설계, 거주후평가과정을 수행한다. |
건축구성론 |
Architectural Theory of Organization |
건축 계획과 수반된 설계, 구조, 환경, 설비 등 관련정보 통합과 구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. |